삼성·LG, IFA 2025서 인공지능 가정 솔루션 공개 예정
세계 가전 시장의 두 거인, 삼성과 LG가 오는 IFA 2025에서 차세대 인공지능 가정 솔루션을 공개한다. 독일 베를린에서 매년 열리는 IFA(국제가전박람회)는 전 세계 가전·IT 기업들이 최신 기술을 선보이는 무대이자, 향후 시장 트렌드를 가늠하는 자리다. 특히 2025년 행사는 AI 가전과 스마트홈 기술이 핵심 키워드로 떠오르고 있어, 양사의 발표에 글로벌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IFA 2025, AI 가전이 핵심 화두
IFA는 CES, MWC와 함께 세계 3대 ICT 전시회로 꼽힌다. 특히 유럽 시장은 친환경 정책과 에너지 효율 규제가 강해, 스마트홈과 AI 기반 가전 솔루션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The Verge와 Nikkei에 따르면, 이번 IFA 2025의 주요 주제 중 하나가 AI와 지속 가능성이며, 글로벌 가전 업체들은 자사 생태계에 인공지능을 접목해 소비자에게 더 효율적이고 편리한 생활 경험을 제공하는 데 집중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흐름 속에서 삼성과 LG는 단순히 스마트 기능을 탑재한 가전제품을 넘어, 집 안 모든 기기가 연결되고 스스로 학습하는 통합형 인공지능 가정 솔루션을 공개할 계획이다.
삼성의 AI 가전 전략
삼성은 이미 CES 2024에서 ‘삼성 AI 포 홈(Samsung AI for Home)’이라는 비전을 제시한 바 있다. 삼성전자는 이번 IFA 2025에서 이 전략을 한층 구체화하며, 가전제품 전반에 AI 기술을 본격적으로 탑재할 예정이다.
특히 삼성은 비스포크 가전, 스마트싱스(SmartThings)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AI 통합 경험을 강조할 것으로 알려졌다. 예를 들어, 냉장고는 사용자의 식습관과 재고를 학습해 맞춤형 레시피를 추천하고, 세탁기는 의류 소재와 날씨를 고려해 최적의 세탁 코스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식이다.
Reuters 보도에 따르면 삼성은 온디바이스 AI 기술을 가전에 적용해, 클라우드 연결 없이도 빠르고 안전한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도록 할 예정이다. 이는 개인정보 보호와 즉각적인 반응 속도 측면에서 큰 장점으로 평가된다.
LG의 인공지능 가정 솔루션
LG는 IFA 2025에서 ‘LG 씽큐(ThinQ)’ 생태계를 확장한 **AI 홈 인텔리전스(AI Home Intelligence)**를 공개할 것으로 전망된다. LG는 이미 스마트 가전 분야에서 AI DD 세탁기, 인공지능 오븐, LG ThinQ 앱 등을 통해 축적한 데이터를 활용해 가전의 자율성을 강화하고 있다.
Digitimes는 LG가 이번 행사에서 “집이 스스로 학습하는 AI 솔루션”을 강조할 것이라고 전했다. 예를 들어, 거실 조명·에어컨·공기청정기·TV가 하나의 인공지능 허브를 통해 통합 제어되고, 사용자의 생활 패턴에 따라 자동으로 최적화된다. 아침에는 조명이 자연광과 유사하게 점등되고, 퇴근 시간에는 공기청정기와 냉난방기가 미리 가동되는 식이다.
또한 LG는 친환경 AI 가전을 전면에 내세울 예정이다. Nikkei에 따르면, LG는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는 에너지 관리 AI를 통해 유럽의 엄격한 환경 규제에 대응하고, 동시에 지속 가능한 라이프스타일을 원하는 소비자층을 공략할 계획이다.
글로벌 시장 경쟁 구도
삼성과 LG의 AI 가전 발표는 단순히 한국 기업들의 기술 전시를 넘어, 글로벌 가전 시장의 미래 경쟁 구도와 직결된다. 이미 미국의 아마존, 구글, 애플이 각각 스마트홈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고, 중국의 하이얼, 샤오미도 공격적으로 AI 가전을 확대하고 있다.
삼성과 LG는 이러한 경쟁 속에서 하드웨어·소프트웨어·생태계를 통합한 AI 가전 전략을 내세워, 시장 주도권을 강화하려 한다. 특히 두 회사 모두 유럽 시장에서 점유율이 높은 만큼, IFA 2025는 향후 글로벌 점유율 확대의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소비자에게 의미하는 변화
이번 삼성과 LG의 발표는 단순히 신제품 소개를 넘어, 소비자의 생활 방식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 사용자는 여러 앱이나 리모컨을 일일이 조작하지 않고, 음성·자동화·AI 추천을 통해 집 안 환경을 제어할 수 있다.
- 전력 관리 AI가 가동되면,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가 줄어 전기 요금을 절감할 수 있다.
- 고령자나 장애인에게는 보다 직관적이고 접근성 높은 생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인공지능 가정 솔루션은 단순한 편리함을 넘어, 지속 가능성, 에너지 절감,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라는 가치를 함께 제시한다.
결론
IFA 2025는 삼성과 LG가 미래 가전의 청사진을 제시하는 자리다. 두 기업은 각자의 강점을 살려 AI 기반의 스마트홈 생태계를 확대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보여줄 예정이다.
앞으로의 핵심은 “누가 더 빠르게, 더 효율적으로, 더 안전하게 AI 가전을 소비자의 일상에 안착시킬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 IFA 2025에서 공개될 삼성·LG의 인공지능 가정 솔루션은 그 답을 가늠할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다.
'시사 >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빌 게이츠, SK 그룹과 손잡고 한국의 SMR 생태계 육성 나서 (4) | 2025.08.25 |
---|---|
기후변화 대응 위한 탄소 포집 기술, 상용화 눈앞 (0) | 2025.08.24 |
애플의 ‘폴더블 아이폰’ 출시 계획, 팩트 기반 집중 해부 (2) | 2025.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