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건강

왜 권투는 짧은 시간 안에 체력이 고갈 되는걸까?

반응형

 

요즘 '무쇠소녀단2'라는 예능에서 권투를 소재로 하고 있어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몇번 뛰지도 않았는데 체력이 고갈되는 걸 보며 짜고 치는 고스톱 아닌가 하는 의문을 가질 수 있는데요, 그래서 권투가 짧은 시간 안에 체력이 고갈되는 이유에 대해서 찾아 보았습니다. 재미 삼아 읽어주세요.


✅ 1. 왜 권투는 몇 번 움직였을 뿐인데 금방 지칠까?

📌 원인 1. 전신 폭발성 운동이기 때문

  • 권투는 겉보기에 주먹만 사용하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하체 → 코어 → 상체로 이어지는 전신 연쇄 운동입니다.
  • 한 번의 펀치에도 지면 반발력(Ground Reaction Force), 회전력(Torque), 관성 활용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상당한 에너지 소비가 발생합니다.
  • 이는 일반 유산소 운동과 달리, 고강도 무산소성 에너지 시스템을 필요로 합니다.

📖 출처:

  • McArdle, Katch & Katch (2014), "Exercise Physiology: Nutrition, Energy, and Human Performance"

📌 원인 2. 무산소성 에너지 대사 → 젖산 축적

  • 권투 동작은 대부분 짧고 폭발적인 움직임(예: 펀치, 스텝, 회피)으로 구성되며, 이는 ATP-PC 시스템, **무산소성 해당 작용(anaerobic glycolysis)**을 주로 사용합니다.
  • 이 에너지 대사는 빠르게 에너지를 공급하지만, 그만큼 젖산(Lactate)이 빠르게 축적되어 근육 피로를 유발합니다.

📖 출처:

  • Brooks, Fahey, Baldwin (2005), "Exercise Physiology: Human Bioenergetics and Its Applications"

📌 원인 3. 심박수 급상승과 심폐 부하

  • 권투처럼 전신을 사용하고, 긴장감이 높은 운동은 교감신경계 활성을 유도하여 심박수 160~180bpm 이상으로 올라갑니다.
  • 일반인은 이 심박수 범위에서 안정적으로 호흡하고 에너지를 공급받는 데 한계가 있어 1~2분 내 피로 누적이 발생합니다.

📖 출처:

  •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ACSM)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10th Edition, 2017)

📌 원인 4. 산소 결핍과 호흡 미숙

  • 펀치 시 호흡을 멈추는 초보 습관은 산소 공급을 더 어렵게 만들어 체력 고갈을 가속합니다.
  • 특히 산소 섭취 없이 펀치를 연속적으로 날릴 경우, 근육은 무산소성 대사에만 의존하고, 체내 pH도 급격히 떨어지면서 피로가 심화됩니다.

📖 출처:

  • Bompa & Haff (2009), "Periodization: Theory and Methodology of Training"

✅ 2. 체력을 오래 유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 전략 1. 심폐지구력 훈련 (Aerobic Conditioning)

  • 유산소 기초체력을 높이면 무산소 활동 시 회복 능력이 향상됩니다.
  • 방법:
    • 조깅, 자전거, 수영 등 Zone 2 심박수 영역 유지 운동 (최대심박수의 60~70%)
    • 주 35회, 3045분 지속

📖 출처:

  • Seiler, Stephen. "Training Intensity Distribution in Endurance Athletes: Scientific Basis, Empirical Data, and Applications." Sports Science (2010)

🎯 전략 2. 무산소 지구력 훈련 (Anaerobic Capacity)

  • 권투에서 핵심은 짧은 시간 폭발력을 유지하면서도 빠르게 회복하는 능력입니다.
  • 방법:
    • 30초 고강도 전력 질주 + 30초 완전 휴식 × 10세트 (Interval Sprint Training)
    • 섀도복싱 3분 라운드 × 3~5세트 (중간에 1분 휴식)

📖 출처:

  • Laursen & Jenkins (2002), "The Scientific Basis for High-Intensity Interval Training: Optimising Training Programmes and Maximising Performance." Sports Med.

🎯 전략 3. 스킬 훈련을 통한 효율성 향상

  • 초보자는 몸에 힘이 과도하게 들어가거나 스텝이 과하게 커서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가 많습니다.
  • 다음과 같은 테크닉이 중요합니다:
    • 호흡과 펀치의 리듬 동기화 (exhale with punch)
    • 상체 힘 빼기 및 코어 중심 이동
    • 짧고 효율적인 스텝 훈련

📖 출처:

  • Ross Enamait, "The Boxer's Guide to Performance Enhancement"

🎯 전략 4. 근지구력 강화

  • 펀치를 반복해도 근육이 덜 지치려면 지구력이 있는 근육 구조가 필요합니다.
  • 예시 운동:
    • 메디신볼 슬램, 배틀로프, 스피드 버피, 점프 스쿼트 × 30초 고속 반복
    • 라운드 방식으로 3~5세트 구성

📖 출처:

  • NSCA (National Strength and Conditioning Association) Strength Training Guidelines

✅ 요약 정리

항목 설명 출처

금방 지치는 이유 전신 폭발성 운동, 무산소 대사, 심박수 급상승, 산소결핍 McArdle et al., ACSM, Brooks et al.
체력 유지 전략 유산소+무산소 조화 훈련, 효율적인 동작, 호흡 훈련, 근지구력 강화 Laursen & Jenkins, NSCA, Ross Enamait

✅ 결론

권투는 보기보다 훨씬 에너지 소모가 큰 고강도 복합 운동입니다. 체력 고갈은 생리학적으로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심폐지구력 + 무산소 내성 + 효율적인 기술 습득을 통해 분명히 극복 가능합니다. 

 

반응형